이미 영상을 만들기 위해 기본 설정을 했다면 ‘타임라인에 추가’를 선택하고 이 템플릿의 기본 설정을 따르려면 ‘새 프로젝트 만들기’를 누른다. 현재 기본 설정은 하지 않은 상태로 이 템플릿을 기준으로 프로젝트(동영상 편집파일)를 만들 것이다. 따라서 ‘새 프로젝트 만들기’ 클릭
타임라인에 여러 클립들이 배치된다. 지난 포스팅에서 배웠던 ‘콘텐츠 라이브러리’에서 여러 라이브러리를 불러온 모습과 유사하다.
동영상 클립, 오디오 클립, 텍스트 클립, 그래픽 클립 등 여러 클립들이 있다 일단 동영상의 길이가 너무 길기 때문에 적당한 위치에 트랜스포트바(현재 재생위치를 나타내는 바)를 원하는 위치에 갖다 놓고 왼쪽 위 ‘가위’ 아이콘을 누른다.
타임라인 내 원하는 위치에 마우스를 이동하면 가느다란 실선이 생기고 옮길 위치를 표시해준다. 원하는 위치에서 클릭하면 트랜스포트 바가 그 위치로 이동한다.
타임라인 왼쪽 상단에 ‘가위’ 아이콘을 누르면 트랜스포트 바를 기준으로 클립들이 잘려 각각의 클립이 두 파트로 나뉜다.
타임라인의 클립은 화살표처럼 순서대로 우리 눈에 보이게 된다. 그 말은 맨 위의 클립이 가려져 있으면 아래는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오디오 클립은 예외로 중첩되어 들린다.)
속성을 알아보기 위해 가장 위의 클립을 마우스로 선택하고
프로젝트 우측 메뉴의 ‘색상 조정’을 클릭하면 좌측 메뉴를 알아봤을 때 처럼 세부 내용이 펼쳐진다.
타임라인의 클립 순서는 위에서 부터 보인다. 이 템플릿은 첫번째 클립이 위를 다 차지하고 있는데 아래의 영상이 보인다. 그것은 위의 그림처럼 투명성이 낮기 때문에 비쳐보이는 것이다. 투명성의 슬라이더를 우측 끝까지 옮기면 선택한 클립은 보이지 않고 좌측 끝까지 옮기면 아래의 클립이 보이지 않게 된다. 이 세부내용을 조절하는 우측 메뉴들은 다음 포스팅에서 다룰 것이다.
타임라인의 텍스트 클립을 선택하고 우측 메뉴에 가보자
우측 메뉴의 텍스트 버튼을 클릭하면 세부설정 창이 펼쳐진다. 위의 텍스트 란에 원래 쓰여져 있던 글귀를 다른 것을 바꿔보자.
클립 앞에 ‘T’가 표시되어 있는 텍스트 클립만 글귀를 바꿀 수 있다. 중간에 있는 “subscribe”는 그래픽 클립으로 문구를 변경할 수 없다.
기존에 다 만들어 놓은 구조에 편집할 수 있는 여지를 잘 살펴 문구를 바꾸거나 동영상 클립을 내가 찍은 것으로 교체할 수도 있고 그림파일을 대체할 수도 있다.
왼쪽 메뉴에서 전환 버튼을 클릭하면 여러가지 전환효과가 나타난다. 전환효과 위에 마우스 포인터를 두면 어떻게 전환이 되는지 바로 알 수 있다.
원하는 효과를 드래그해서 타임라인의 두 영상 사이 [+] 표시에 가져가면 드랍하면 된다.전환효과가 적용되면 [+] 표시가 다음과 같이 바뀐다.전환효과가 선택된 상태에서 우측메뉴에 가면 전환 버튼이 생긴다. 이 버튼을 누르면 전환효과가 적용될 기간(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