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st feed

Featured

시놀로지 나스(Synology NAS)로 홈페이지를 구축해보자. 1 – 다운로드, 설치 (Feat. 워드프레스 수동설치)

시놀로지 나스(Synology NAS)의 유용한 기능 중 하나는 홈페이지를 구축할 수 있다는 것이다. 나만의 개성있는 도메인을 구입하였다면 그에 맞는 홈페이지를 만들어 사용하면 좋을 것이다. 상업적인 홈페이지가 아니더라도 간단히 블로그를 운영해도 좋을 것이다. 워드프레스는 홈페이지의 보이는 부분을 만드는 프로그램이라고 보면 된다. 커맨드 창에 프로그램 명령을 내리던 방식에서 그래픽을 보고 마우스를 움직여 명령을 내릴 수 있는 사용자 친화적인 환경을 제공한 OS처럼 홈페이지를 만들 때 HTML, CSS 등 직접 코딩을 해야했던 과정을 마우스 클릭과 보기에서의 선택 등으로 바꾸어준 웹 제작도구이다. (Front End, Back End 라는 단어를 가끔 볼텐데 말 그대로 Front End는 우리 눈에 보이는 것이고 Back End는 화면 뒤에 숨어서 우리 눈으로 보이지

Read more

엑셀(Excel) 셀크기 자동 실시간 조정

엑셀(Excel)로 문서를 작성을 시작하다 보면 셀크기에 비해 내용이 너무 길어져서 안보이거나 헷갈릴 경우가 있다. 그래서 작성하다가 수시로 행과 열을 조정해주면서 하게 되는데 이게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다. 규격화 되어있는 생년월일, 전화번호 등은 처음에 조정한 후 계속 써내려 가면 되지만 주소 같은 경우 길이가 천차만별이라 기껏 맞추었다가 또 맞추고 최종 작성 끝난 후 또 맞추는 경우가 있는데 VBA코드를 이용해서 실시간으로 맞출 수 있다. 1. 엑셀 기본 메뉴(단축키) 사용 경계선을 더블 클릭하거나 셀 선택 후, 단축키(Alt 누른채로 차례대로 H-O-I 호이, H-O-A 호아) 혹은 상단의 리본메뉴에서 서식 – 행 높이 자동 맞춤, 열 너비 자동 맞춤을 마우스질로 해도 된다. 하지만 작성 중 수시로

Read more

시놀로지 나스 (Synology NAS) MailPlus 다중 도메인 이메일 설정 – 도메인 추가

시놀로지 나스(Synology NAS)에 하나의 도메인이 아닌 또 다른 도메인을 호스팅 했다. 그러니까 GGKK.net 을 A레코드에 나의 외부 IP와 연결을 통해 NAS에 연결해서 쓰고 있었는데 또 다른 KKGG.org라는 도메인을 또 구매해서 나의 외부IP를 통해 또 나의 NAS를 연결한 것이다. 각각의 도메인이 나의 NAS를 가르키고 있는 것이다. 이 경우는 지금 필자의 경우와 비슷한데 첫번째 도메인은 개인사업의 홈페이지로 이용 중이고 두번째 도메인은 바로 지금 이 블로그를 운영하기 위해 구매했다. 두 도메인이 똑같이 NAS로 들어오지만 도메인, 즉 이름이 다르기 때문에 WebStation에서 홈페이지를 2개 만들어 각각 도메인을 연결해놓았다. 기본적인 DSM 등의 서비스는 첫번째 도메인을 구입했을 때 설정 해놓았으므로 따로 건드리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고(nas.첫번째 도메인, drive.첫번째

Read more

도메인을 하나쯤 사두자. 도메인 구입, 설정 방법

NAS를 가지고 있다면 이름표를 다는 것 처럼 도메인 구입을 반드시 하도록 하자. NAS 구축 비용에 비하면 하찮은 수준의 금액이니 부담가지지 말고 이 비싼 기계 덩어리를 샀으면 써먹을 수 있는 만큼 다 써먹어야 할 것이 아닌가. 자, 비용을 곱씹어보자.  Synology NAS의 사악한 가격에 HDD도 여러개, UPS까지 사면 100만원은 그냥 넘어간다. 이런 금액을 들였으면 온전히 나만의 것으로 만들어야 할 것이 아닌가? 이름표를 달아서 나의 일부처럼 생각하면 좀 더 애정을 가지고 어떻게 써먹을까 궁리를 하게 될 것이다. 주의해야할 점이 KT인터넷을 이용하면 포트80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인터넷 서비스마다 정책을 들먹이며 80번포트를 막아두는 곳이 있으니 확인하자. 이러면 NAS로 오기전에 통신사에서 막아버려서 이용하기 힘들다.. 1. 도메인

Read more

Synology NAS UPS 알아보기

Synology NAS의 서버로서 가장 큰 주안점은 안정성이다. 하지만 자연재해나 공사 혹은 예기치 못한 사고로 전기가 차단될 수 있는데 이러면 NAS는 바로 죽는다(RAID가 손상되면 진정 큰일이다). 모든 전기 제품은 종료 전에 종료 준비작업을 해두고 전원을 끄지 않으면 치명타를 입는다. 앞으로 보며 길을 가는데 맨홀이나 포트홀이 있어 밑으로 떨어지면 큰 부상을 당하는 것과 비슷하다. 물론 최소한의 목표가 NAS의 시스템이 망가지지 않게 하는 것이고 더 나아가 용량이 큰 UPS를 사용하면 전력이 끊기더라도 UPS 충전된 전력으로 전기가 한동안 들어오지 않더라도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할 수도 있다. 대형서버들은 많은 사람들이 중요한 목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정전이 되더라도 계속 돌아갈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지만 그 비용이 상당하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