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st feed

Featured

스마트폰으로 무전기 사용하기 (DirectTalk 2)

일반적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카카오톡 같은 채팅 프로그램은 직접 통신하는 무전기와 다르게 서버가 있어야 한다. 서버에 메세지를 송신하면 서버는 이를 저장하고 지정된 사용자에게 알람을 보내면 수신자는 서버에 접속해 메세지를 확인한다. 뉴스 기사에서 범죄 혐의 입증을 위해 서버를 압수, 수색한다는 말이 나오는 것도 대화 내용이 저장, 열람되는 방식의 채팅은 단말기에서 아무리 내용을 삭제해도 이를 중계하는 서버에는 전체 데이터가 남기 때문이다. 서버가 내부 네트워크에 있지 않게 되면 서로 메세지를 주고 받기 위해서 반드시 외부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당연히도 메세지가 서버까지 도달해야 수신자에게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터넷 회선이 닿지 않는다면 모바일 데이터를 사용해야 하기에 데이터 비용이 발생할 수 있고, 지하 등 통신이

Read more

랜 케이블(이더넷 케이블) 만들기 (RJ45, UTP, STP)

인터넷을 사용하는 데에 필수적인 것이 랜 케이블이다. 무선으로 연결할 수도 있지 않느냐는 물음이 있을 수 있지만, 그 무선 AP도 결국 유선, 즉 랜 케이블로 연결을 해 데이터를 주고 받아야 한다. 시중에 다양한 완성품 랜 케이블이 나와있지만 필요에 따라서 길이나 형식을 맞추기 위해서는 재료를 구입해 만드는 것을 추천한다. 생각보다 어렵지 않아 간단하게 만들 수 있다. 재료의 가격이 생각보다 높지 않으므로 한 두개가 아닌 여러 개의 랜 케이블이 필요할 때에는 재료와 도구를 구입해서 만들어 쓰는 것이 경제적이다. ‘랜 케이블’이라고도 부르고 ‘이더넷(Ethernet) 케이블’이라고도 부른다. 엄밀히 말하면 이더넷(Ethernet)은 IEEE 802.3 규격의 프로토콜이나 이것이 곧 LAN, WAN 등으로 포함하므로 편의상 그렇게 불려오고 있다.   1.

Read more

ipTIME T5008SE 유선 공유기 사용기

ipTIME의 T5008SE는 “유선 공유기”이다. 무선 네트워크의 발전으로 인해 많은 기기들이 무선을 지원하기에 RJ45 규격의 흔히 말하는 “랜선”은 특정 목적이 아니고는 가정에서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유선 공유기는 선호도가 떨어진다. 다만 네트워크 단자함을 이용할 수 있는 건물이라면 그곳에서 WAN을 받아 바로 분기해서 각 방으로 가는 단자에 연결해 각 방의 랜포트에 AP를 연결하거나 스위칭 허브를 사용해서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거의 그런 용도로 쓰일 것이다. 필자도 유선 4포트를 지원하는 유무선 공유기를 사용 중이었으나, 유선을 사용해야하는 포트가 4개를 넘어가게 되었고 스위칭 허브를 이용해 확장을 고민하다가 간편함과 안정성을 생각해서 유선 공유기를 구입하였다. 후보군 중에는 ipTIME의 16포트 공유기 T16000M도 있었으나, 예산의 문제도 있고 무엇보다 출시년도가 2019년이기에

Read more

Power Toys – 윈도우를 업그레이드! <윈도우 전용 유틸리티>

Microsoft Power Toys는 Windows 사용자들이 생산성을 높이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돕는 무료 유틸리티 도구 모음이다. 원래 Windows 95 시절에 등장했지만, 최근에는 오픈소스로 GitHub에서 활발히 개발되고 있으며, Windows 10 및 Windows 11에서 사용할 수 있다. 주요 기능 (2025년 기준 최신 버전 기준) PowerToys Run 빠른 앱 실행기 (Alt + Space) 검색어로 앱, 파일, 폴더, 시스템 명령 등을 즉시 실행 가능 macOS의 Spotlight와 유사 FancyZones 창 분할 관리 도구 다중 모니터 환경에서 창을 사용자 지정 그리드에 쉽게 배치 가능 File Explorer 추가 기능 미리보기 창에서 SVG, Markdown 등 일반적으로 미리볼 수 없는 파일 포맷 지원 Image Resizer 파일 탐색기에서 이미지를

Read more

메모리 카드(SD, Micro SD, CF 등)의 종류와 특성

휴대 기록장치의 발전으로 저장소 또한 따라서 발전하고 있는데 각자가 가진 기기에 맞는 정확한 성능의 메모리 카드를 사용해야 최대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자.   1. SD 카드 (Secure Digital) 가장 일반적인 메모리 카드 형식. 크기: 32×24×2.1mm 용량/속도 등급에 따라 분류됨 종류 최대 용량 파일 시스템 특징 SDSC (Standard Capacity) ~2GB FAT16 초기형 SDHC (High Capacity) 2GB ~ 32GB FAT32 널리 사용됨 SDXC (Extended Capacity) 32GB ~ 2TB exFAT 최신 기기 대응 SDUC (Ultra Capacity) 최대 128TB exFAT 매우 드물고 고가 속도 등급 (표기 예: C10, U3, V30 등): Class 2 ~ 10: 최소 쓰기 속도 (예: Class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