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nology NAS UPS 알아보기

Author name

2025년 01월 20일




Synology NAS의 서버로서 가장 큰 주안점은 안정성이다. 하지만 자연재해나 공사 혹은 예기치 못한 사고로 전기가 차단될 수 있는데 이러면 NAS는 바로 죽는다(RAID가 손상되면 진정 큰일이다). 모든 전기 제품은 종료 전에 종료 준비작업을 해두고 전원을 끄지 않으면 치명타를 입는다. 앞으로 보며 길을 가는데 맨홀이나 포트홀이 있어 밑으로 떨어지면 큰 부상을 당하는 것과 비슷하다.

물론 최소한의 목표가 NAS의 시스템이 망가지지 않게 하는 것이고 더 나아가 용량이 큰 UPS를 사용하면 전력이 끊기더라도 UPS 충전된 전력으로 전기가 한동안 들어오지 않더라도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할 수도 있다. 대형서버들은 많은 사람들이 중요한 목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정전이 되더라도 계속 돌아갈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지만 그 비용이 상당하다. 우리같은 개인 NAS 소유자는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대한의 만족을 얻기 위한 효율성을  따져야 한다.

 

1. Synology NAS UPS 구성

Synology NAS UPS

필자의 시스템 모식도이다. 벽전기(빨간선)에 PC와 UPS를 각각 꽂고 UPS는 NAS를 운용하는데 최소한의 기기만을 꽂는다. 정전이 되었을 때 최소한의 동작이 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쪽을 살리도록 모뎀과 공유기 NAS 이렇게 3개는 UPS의 전원(파란색)이 바닥날 때까지 동작한다. PC에서 작업하는 것은 실시간으로 NAS에 동기화 되어 저장되기 때문에 PC는 전원이 나가도 상관없다.

Ethernet(푸른색)은 공유기가 UPS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정전이 되더라도 공유기에 연결된 NAS를 비롯해 모바일 기기도 wifi로 연결되어 있기에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다. NAS는 2개의 포트를 묶어 포트트렁킹(link aggregation)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케이블이 손상되도 계속 사용할 수 있다.(2개를 묶었으니 속도가 2배가 되는 것이 아니라 안정성을 위한 세팅이다. RAID1 같은 목적)

잡설인데 이전에 근무하던 곳에 NAS와 UPS를 설치했더니 바로 다음날 시설관리 담당하는 어르신께서 UPS 구멍이 남는 것을 보고 거기에 전기 드릴을 꽂아 돌리고 이것 저것 다 꽂아 UPS 전력이 불안정해져서 RAID가 풀려버려 데이터 복구에 큰 금액을 날린 경우가 있었다.

UPS에는 전기를 적게 먹고 네트워크 구성에 꼭 필요한 것 이외에는 절대 꽂지 말자. UPS는 가급적 멀티탭에 꽂지 말고 벽전기에 바로 꽂도록 한다.

 

2. Synology NAS UPS 선택

UPS는 단순 전원 분배 기능 이외에 모니터링 정보를 NAS와 공유하여 정전으로 UPS 예비전력으로 사용시 환경변경을 NAS에 알려준다. ‘지금 정전시작되어 UPS전력으로 공급 중인데 배터리 방전까지 얼마 남았다.’ 고 UPS가 NAS에 알려주면 NAS는 이를 대비하여 시스템이 망가지지 않도록 종료를 준비한다.

이 정보를 USB 혹은 Ethernet 으로 전달하는데 snmp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Ethernet 방식은 ‘비싸다’ 배보다 배꼽이 더 커진다. 따라서 우리 같이 영세한 소규모 NAS 소유자들은 USB 타입을 선택해야 한다.

포털에서 간단히 NAS UPS 정도로 검색하면 상품들이 뜨는데 대략 20만원 선에서 구입가능하다. (지출은 계속된다.) 다른 것은 몰라도 UPS는 만일을 대비해서 하나 마련해두자. 필자도 포털 검색으로 EATON Ellipse 중 용량이 가장 적은 제품을 구입했다. USB 포트가 있는지와 배터리 용량이 얼마인지 보고 각자에 맞게 선택하자.

시놀로지 나스
창고가 1년 내내 서늘해서 창고에 설치해둔 NAS와 UPS

 




 

3. Synology NAS UPS 설정

스크린샷 2025 01 20 134611

UPS유형에는 USB, snmp, Synology 서버 이렇게 나와있는데 우리에게 해당되는 것은 USB뿐이므로 USB UPS로 선택. (다른 옵션은 snmp로 구성해야하는 중대형 옵션이다.) 배터리가 다 닳을 때까지 혹은 시간을 지정해서 NAS를 대기모드(종료 대비)로 전환할 수 있다.

스크린샷 2025 01 20 134629

스마트폰 배터리처럼 UPS 배터리도 3년에 한번 교체를 권장하고 있다. 배터리팩도 따로 판매하고 있으니 적절하게 교환해주면 된다. 이 모든 과정이 귀찮다고 느껴질 수도 있는데 NAS에 나의 모든 자료들이 담겨있다고 생각하면 술 몇 번 먹을 돈 정도는 아껴서 투자해도 좋을 것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