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VMe와 SATA 둘 중 무엇을 써야할까?
컴퓨터 저장장치는 데이터의 저장 및 속도에 따라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사용합니다. 대표적인 저장장치 인터페이스로 ‘SATA(Serial ATA)’와 ‘NVMe(Non-Volatile Memory Express)’가 있으며, 이 두 형식은 속도, 구조, 호환성 등 여러 측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나에게 맞는 것은 무엇인지 알아봅니다. 1. SATA(Serial ATA) 1.1 SATA SATA(Serial ATA)는 기존의 PATA(Parallel ATA, IDE)의 후속으로 등장한 저장장치 인터페이스로, HDD(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및 SSD(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와 같은 저장장치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입니다. SATA는 직렬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주로 SSD나 HDD와 같은 저장장치를 메인보드와 연결하는 데 사용됩니다. 1.2 SATA의 주요 특징 속도: SATA 인터페이스는 여러 세대를 거쳐 발전해 왔으며, 다음은 세대별 속도입니다. SATA 1.0: 1.5Gbps (약 150MB/s) SATA 2.0: 3.0Gbps (약 300MB/s) SATA
Read moreNAS로 할 수 있는 것들은 무엇이 있을까?
NAS(Network Attached Storage)는 여러 사용자가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장장치입니다. 개인부터 기업까지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으며, 데이터 백업, 미디어 스트리밍, 원격 접속, 보안 감시 등 유용한 여러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NAS의 다양한 활용 방법을 자세히 소개하겠습니다. 1. 데이터 백업 및 복구 NAS의 가장 주된 목적은 데이터 백업입니다. 하드 디스크 고장이나 랜섬웨어 공격 등으로부터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NAS를 백업 저장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자동 백업 설정 PC 및 노트북 백업: NAS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백업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면 주기적으로 자동 백업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스냅샷 기능: 특정 시점의 데이터를 사진을 찍듯 찍어 저장하여 필요할 때 복구할 수 있는
Read moreNAS 도메인 간단 설정 방법
NAS(Network Attached Storage)를 집 밖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 NAS 도메인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NAS의 도메인 설정을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다면 NAS에 접속하여 파일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1. NAS 도메인 설정 준비하기 NAS : Synology, QNAP 등 다양한 NAS 브랜드 중 하나를 구입합니다. 공인 IP 또는 DDNS : 고정된 공인 IP가 없다면 DDNS 서비스를 이용해야 하는데 나만의 도메인을 구입하면 좋습니다. 포트 포워딩 : 외부에서 NAS에 접속할 수 있도록 공유기의 해당 포트를 열어야 합니다. SSL 인증서: 보안 강화를 위해 HTTPS를 설정합니다. NAS 서비스에서 제공합니다. 2. DDNS 설정하기 (Dynamic DNS) 공인 IP가 유동 IP라면 DDNS 서비스를 이용하여 동일한 도메인 주소로 NAS에 접속할
Read morePC, 스마트폰 모양은 달라도 시스템은 같다.
우리는 모바일의 기기와 함께 살고 있습니다. 어딜 가도 스마트폰과 함께합니다. 하지만 정작 이들 시스템이 어떻게 동작하는지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습니다. 물론 응용 앱만을 잘 다루어도 큰 문제는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 원리를 알아둔다면 이를 이용한 범죄나 사기에서 조금은 자유로울 수 있을 것입니다. 스마트폰은 PC의 축소판입니다. 생김새는 다르지만, 작동하는 원리는 정확히 동일합니다. IT기술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PC의 구성부터 작동 원리를 우리가 친근한 스마트폰과 비교해 가며 차근차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PC 시스템 개요와 구조 PC는 하드웨어와 OS(Operation System)과 응용프로그램으로 작동합니다. 하드웨어는 물리적으로 데이터들을 처리하고 이동시키는 통로를 통틀어 일컫습니다. PC는 케이스 안에 부품이 들어가 있고 그 부품들이 서로 데이터를 공유하며 처리합니다. 스마트폰도
Read more인터넷 연결은 어떻게 되는 것일까?
인터넷 연결이 아니면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세상이 되었습니다. 집마다 초고속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고 어디를 가던 Wifi, 모바일 데이터로 항상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PC는 물론 스마트폰, 심지어 가전기기들도 인터넷에 연결되어 여러 가지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우리의 생활에 깊숙이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지만 어떻게 연결되고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잘 알지 못합니다. 크나큰 편리함을 가져다 주는 만큼 조금은 관심을 갖고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공용(외부) IP (Public IP) 우리가 흔히 부르는 IP(Internet Protocol)는 통신규약이므로 정확한 표현은 IP주소가 맞습니다. 주소라고 하는 것은 위치를 가리킵니다. 집 주소, 사무실 주소처럼 상대방이 어디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개념입니다. 마찬가지로 IP주소도 인터넷을 사용하려면 꼭 가지고 있어야 하는 주소입니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