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TV, 녹화기 자가설치 방법 – 1. 기본 설치 개념

Author name

2025년 02월 13일




CCTV는 설치와 운용에 비용이 많이 들어 큰 기업이 아니면 사용하지 못한 시절도 있었고 현재도 업체를 부르자니 비용이 만만치 않은 경우가 종종 있다. 필자는 어쩌다 보니 이 전에 다니던 근무지에서 전혀 상관없는 부서였는데 네트워크, NAS 등을 설치한 적이 있었다. 그때 예산을 좀 더 요청해서 CCTV까지 네트워크에 9대를 물려서 사용한 적이 있었는데 제품들이 잘 나와서 관련 지식을 조금만 알면 저렴하게 자가설치 할 수 있다. 대략 어떤 제품을 골라서 어떻게 설치를 할 것인지 그 방법을 함께 알아보자.

 

1. 설치 환경 파악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CCTV를 사용한다면 가벼운 홈캠 한 두개로 해결될 것이기에 배제하고 실내, 실외 등 여러 경우를 가정해서 알아볼 것이다. CCTV가 필요한 곳은 동선파악을 하고 있는 소유주들이 잘 알고 있을 것이다. 따라서 몇 개의 CCTV가 필요할지를 파악한다.

기훈은 소규모 자영업자로 업장이 크지 않아 많아야 4개 정도이고 2개 정도를 설치할 예정이다. 저렴하고 많이 팔린 TP-LINK 제품으로 알아보려한다.

 

2. NVR 선택하기

NVR(Network Video Recorder)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CCTV를 채널별로 녹화하는 기계이다. 감시카메라를 계속 지켜보고 있을 수 없기 때문에 이를 NVR 내부의 HDD 드라이브에 녹화를 해야한다. 저렴하게 구성해보는 것이 목표이니 대중적이고 저렴한 제품을 선택해보자.

nvr
영세한 기훈이 고른 NVR

 

상품 요약 설명에서 주요한 것은

  • 4채널 : 카메라를 4개까지 연결할 수 있다. (당연하게도 더 많은 카메라를 지원하는 모델도 있다.)
  • 800만 화소 : 800만 화소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를 지원한다. (800만까지 쓸 일은 거의 없다.)
  • 영상출력(VGA, HDMI) : VGA나 HDMI 포트가 있어서 거기에 모니터나 TV와 연결하면 실시간 모니터링과 녹화된 영상을 선별해서 볼 수 있다.
  • 최대 저장용량 10TB : 영상을 녹화할 HDD를 최대 10TB짜리를 1개 넣을 수 있다. 크면 클수록 많은 카메라 혹은 장기간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 양방향 통화 : 앱을 통해 CCTV에 마이크와 스피커가 달려있다면 CCTV로 소통할 수 있다.
  • PoE : CCTV 전원을 따로 공급할 필요가 없다.(지난 포스팅 3항 참조)

이 정도만 알면 된다.

 

 

3. HDD 선택하기

365일 24시간 녹화를 해야하는 특성상 PC에서 사용하는 일반 HDD보다 내구성이 높은 모델을 골라야 한다. 각 제조사에서는 용도에 맞는 HDD를 판매 중인데 CCTV용 이나 NAS용으로 구매를 한다. 다만 가격이 일반 HDD보다 높으므로 용량을 잘 고려해서 구입한다.

hdd
기훈이는 카메라 개수도 적어서 가격이 적당한 선에서 골랐다.

 

가끔 스펙에 시간을 알기 애매모호할 때가 있는데

1년 – 8,760 시간 (반올림으로 넉넉하게 잡아 10,000 시간으로 보자) 10,000시간이 1년이라고 어림잡아 100만시간이면 100년이다. 대를 물려줄 수 있다.

 

 

4. CCTV 카메라 및 부자재 선택하기

실내 라면 큰 상관 없겠지만 실외 라면 방수, 방진이 되는 CCTV를 골라야 한다. 가장 쉬운 방법은 NVR과 같은 제조사의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다. 하지만 IP카메라의 대부분은 ONVIF라는 공통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이 형식을 지원하는 카메라는 NVR에서 인식하기 때문에 녹화가 가능하다.

  • 실외/실내 : 내구성을 위해 장소에 맞도록 선택한다.
  • 화소 : 카메라가 찍히는 해상도(화면 크기)이다. 클수록 좋지만 데이터 크기도 커져 HDD용량을 많이 차지할 수 있다.
  • 화각 : 광각과 망원의 차이다.
camera
같은 위치에 설치해도 화각에 따라 담을 수 있는 장면은 다르다.

 

camera
주차장과 현관을 비출 실외용을 골랐다.

 

camera
기훈이는 업장이 크지 않아 실내용은 한 대만 쓰기로 했다.

 

실내는 유선으로 연결할 것이라 PoE가 가능한 Cat5e 형식의 케이블을 골랐다.(Cat6 등 그 이상도 상관없으나 굳이 더 비싼 금액을 들일 필요없이 하위 마지노선에 맞춘다.)

cable
10m면 NVR에서 충분히 닿는 거리에 카메라를 설치할 것이다.

 

이렇게 전부해서 대략 30만원 가량 들었다.




5. 네트워크 구성하기

기훈이네 가게는 코너에 위치한 작은 점포다. 바로 옆에 작은 주차장이 있다.

노트 2025. 2. 12. 3 1
실내는 유선으로 실외는 무선으로 연결할 셈이다.

 

2025. 2. 12. 3 1 1
모식도

5-1. 공유기

  • NVR에 IP를 부여한다.
  • 또한 NVR에 PoE로 Cat5e 랜케이블을 연결한 C230I mini 에게도 IP를 부여한다.
  • 무선 연결로 C340-W에 IP를 부여한다.

이로써 NVR과 카메라가 같은 네트워크 안에 자리하게 되었다.

5-2. NVR

  • C230I mini와 연결된 Cat5e 랜케이블로 촬영 데이터를 받고 전기를 공급해준다.
  • 공유기와 무선연결된 C340-W의 촬영 데이터를 공유기를 통해 유선으로 받는다.
  • 이 둘을 설정에 따라 녹화 한다. HDMI로 연결한 모니터에 실시간 영상을 보거나 마우스를 연결하여 녹화된 화면을 일자, 시간에 따라 재생할 수 있다.

5-3. C230I mini

  • NVR로 부터 Cat5e(PoE)로 전원을 공급받는다.
  • Cat5e 케이블로 NVR에 촬영 데이터를 보낸다.

5-4. C340-W

  • 동봉된 아답터로 전원을 공급 받아야 한다. 기훈이는 간판 전원 때문에 만들어 놓은 외부 콘센트를 이용했다.
  • 무선으로 연결된 공유기로 데이터를 보내면 NVR로 촬영 데이터가 전달된다.

 

사실 연결과 설정은 그리 어렵지 않다 선정리가 관건이다. 그래서 외부 같은 경우 랜케이블을 길게 빼기 힘들면 전원은 어디서 따와도 되니 무선으로 연결하면 편리하다. 설치하고자 하는 환경이 다 제각각이라 응용하기 나름이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TP-LINK의 앱활용 등 좀 더 세부적인 내용을 다뤄보겠다.

관련된 내용에 대한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을 달아놓으면 성심껏 답을 해드릴테니 부담없이 댓글 달아놓으셔도 좋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