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nology NAS의 사용자 계정과 그룹을 생성했으니 그룹이 공유할 데이터를 담을 폴더를 만들어 보자. Synology NAS는 앞의 포스팅에서도 언급했듯 로그인 계정만 접근 가능한 개인공간과 조건에 따라 공유가능한 공유공간으로 나뉜다. 개인공간은 계정당 1개이며 공유공간은 폴더를 수없이 만들어 개인에 따라 혹은 그룹에 따라 공유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판 – 공유 폴더 – 생성 – 공유 폴더 생성, 앞서 설정한대로 일단 권한은 배제한 채로 깡통 폴더를 만들 것이다. 다 만들고 난 후에 편집 기능으로 권한을 부여하도록 한다.
▲ 폴더명에 한글, 영문, 숫자 모두 가능하다. 실수로 삭제한 파일을 복원할 수 있게 휴지통은 항상 활성화 한다.
▲ 각 항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되어있다. 특수한 경우가 아니라면 건너뛰면 되겠다.
▲ 잘 모르는 항목이 나오면 기본 설정대로 넘어가도록 한다. 데이터 스크러빙은 시스템 전체 정기 스크러빙으로 대체할 것이기에 체크하지 않는다. NAS에 디스크베이가 꽉 차서 더 증설할 수 없거나 해서 용량에 제한이 있다면 각각의 공유폴더에 용량을 지정해주면 좋다. 이것 또한 편집을 통해 설정할 수 있으니 그냥 넘어가자.
▲ 권한 설정이 되지 않은 깡통 공유 폴더가 만들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