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시놀로지 드라이브Synology Drive Client 다운로드, 설치

Author name

2025년 01월 17일




Synology Drive Client의 모바일 앱의 설치 과정은 어렵지 않아 따로 설명할 부분은 로그인 절차 정도로 해두어 포스트 말미에 짧게 설명하도록 하고 Windows는 경로 설정을 이해할 필요가 있어서 이 부분을 하나씩 따라해보도록 하자.

1. Synology Drive Client 다운로드

 

Synology Drive Client DownloadPC용 Drive 다운로드 (Windows, Mac)

다운로드 링크에 들어가서 자신의 OS에 맞는 설치파일을 다운로드 한다.

Drive Download

링크는 여러가지 다운로드를 안내하는 최근의 Windows PC라면 64비트 일 것이기에 세번째 항목 – Windows (64 bits, msi)을 다운로드 받자.

본인의 PC의 시스템이 32, 64 비트인지 모른다면 [내PC 우클릭 – 속성] ‘시스템 종류’ 항목에서 확인할 수 있다. Windows를 사용하고 있다면 exe 파일보다 윈도우 인스톨러인 msi를 선택하도록 하자.

 

2. Synology Drive Client 설치 (Windows)

2-1. 초기 설정 (로그인)

설치파일을 실행하고 동의함, 다음, 다음 등을 눌러 설치 완료하면 다음 그림과 같이 첫 실행이 된다.

스크린샷 2025 01 17 134326

1. Synology NAS

1. IP : 숫자로 된 주소로 NAS가 연결된 내부 네트워크 주소다. 일반적으로 숫자로 표시한다. (ex. 192.168.0.10 등) NAS가 연결된 공유기와 연결되어 외부로 가지고 나가지 않는 사무실 내 데스크탑은 이걸로 설정해도 좋다. 하지만 노트북을 IP로 설정할 경우 외부에 들고 나가 다른 Wifi, 즉 다른 네트워크에 접속하게 되면 NAS를 찾을 수 없다. 노트북을 들고 이동해 접속한 네트워크가 내부 네트워크가 되는데 그곳에는 NAS가 없기 때문이다.

2. 도메인 이름 : 따라서 이것을 가장 추천한다. 기본적으로 Synology NAS에서는 [아이디.synology.me] 형식의 도메인을 지원한다. (DDNS) 이 형식으로 접속할 경우 내부 네트워크, 외부 네트워크 상관없이 접속된다. 비싼 돈 주고 구입한 NAS인데 연간 1~2만원을 내고 자기만의 도메인을 구입해서 연결하는 것을 추천한다.(Web Station – 홈페이지 구축 때 포스팅 예정)

우리가 웹브라우저에 입력하는 naver.com 등의 문자는 사실 숫자를 사람이 알기 쉽게 바꾼 것이다. 집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회선이 있다면 외부와 통용되는 숫자(주소)를 받은 것이기에 자기만의 단어로 개성있는 문자주소를 도메인 업체에 주문해서 숫자(주소)와 연결해주면 된다. 더욱 간략하게 얘기하면 도메인 업체에서 산 문자 주소(예를들어 GGGKKK.net 이것을 구입했다고 하자)를 브라우저에 입력하면 도메인업체에서 내가 쓰고 있는 인터넷 숫자주소와 연결해준다. 그냥 이 정도로 알고 넘어가자. 공유기의 NAT Loopback 으로 내부 NAS를 바로 찾게 해준다느니 이런 내용은 굳이 알 필요가 없다. <내, 외부 상관없이 접속 가능>으로 알아두자

3. QuickConnect ID : Synology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인데 간단하게 설정한 ID로 접속할 수 있는데 해외를 공유하기 때문에 속도 제한이 있다. 간단한 문서 정도는 괜찮으나 사진 등 용량이 커지면 아마 느려서 쓰지 않게 될 것이다.

2. NAS 로그인 사용자 이름

말그대로 사용자 ID, 지금 NAS에 접속해있는 본인의 아이디를 쓴다.

3. NAS 로그인 패스워드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스크린샷 2025 01 17 141200

그러므로 위에 설명 했듯 Quickconnect로 전환은 [나중에] 즉, 도메인 이름으로 사용한다.

 

스크린샷 2025 01 17 141723

동기화 작업 : 양방향으로 우리가 사용하려는 활용방향과 맞다. (선택)

백업 작업 : 단방향 백업작업만을 수행

스크린샷 2025 01 17 142753

 

이 화면이 뜨면 섣불리 완료를 누르지 말고 멈추자.

2-2. 경로 설정

이 부분이 포스팅의 핵심 내용이다. Synology Drive의 기본 설정 그대로 다음, 다음을 누르다가 엉망이 될 수 있으니 집중해서 살펴보자. 실제로 계속 다음을 누르다가 엉망이 눌러서 접속 끊고 또 재동기화 하고 다음 누르다가 엉망되고 몇 겹으로 꼬여서 파일지우다가 동기화로 NAS의 데이터까지 지운 경우가 많았다. 제시하는 순서대로 하면 최악의 경우는 피할 수 있을 것이다.

1. 내PC에서 동기화할 폴더 만들기

Drive 기본 설정 경로는 C:\Users\사용자\SynologyDrive 로 하나의 폴더가 생성된다. 우리는 폴더 하나가 아닌 사용자들과 공유할 폴더도 만들어야 하기에 이 기본값으로 계속 진행하면 안된다. 그래서 필자는 SynologyDrive 폴더 하위에 개인폴더, 즉 내 폴더는 [MyDrive] 로 나머지 공유할 폴더는 주제에 맞게 이름을 만들어 PC에 만들어둔다.(위치는 어디든 상관없다.) 물론 폴더명도 자유다. 구조만 맞추면 된다. ‘SynologyDrive’를 ‘나스폴더’로 명명을 하던 ‘멍멍이’로 하던 전혀 상관이 없다. 하위에 ‘MyDrive’도 ‘내폴더’ 이렇게 만들어도 전혀 상관이 없다. 다만 정리하기 편하게 필자가 제시하는 구조로 만들면 되겠다.

스크린샷 2025 01 17 143417

필자는 PC에 드라이브가 1개여서 Synology Drive가 기본값으로 지정하는 곳에 [SynologyDrive]라는 폴더를 만들었다. 그리고 하위에 내폴더 [MyDrive]와 사용자들과 공유할 폴더 3개를 만들었다.

스크린샷 2025 01 17 143432

<SynologyDrive 하위에 만든 MyDrive와 3개의 폴더>

만일 본인의 PC에 D, E 드라이브가 있다면 그곳에 만들어도 좋다. 내PC라면 어디든 상관없다. 다만 위에서 말한 구조는 유지해주면 좋다.

Sync

이런식으로 연결하기 위해 PC에 폴더를 생성했다.

2. Synology Drive(NAS)와 내PC 폴더를 연결

폴더를 생성했으면 다음 과정을 진행한다. 내 폴더의 NAS기본 경로는 손댈 필요 없다. 아래쪽 PC경로를 [변경]을 눌러 아까 만들어두었던 MyDrive를 지정한다.

스크린샷 2025 01 17 145849

이때 아래의 빈 “SynologyDrive” 폴더 만들기 체크박스를 반드시 해제 한다. 기껏 폴더 구조를 만들어놓고 MyDrive 하단에 SynologyDrive 폴더가 또 생겨 이 폴더와 동기화하는 불상사가 생긴다.

스크린샷 2025 01 17 150335

확인을 누르면 최종 완료화면이 뜨고 동기화 아이콘이 뜨며 동기화를 하기 시작하고 윈도우 시작프로그램에 자동등록되어 PC를 켤때마다 자동 실행, 동기화된다. 이는 작업표시줄 우측 하단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스크린샷 2025 01 17 152134

 

3. 공유폴더 연결하기

과정은 2의 항목과 거의 같다. 다만 NAS 쪽의 경로(/home/Drive)를 설정해주어야 한다. NAS에 공유하고자 하는 폴더를 지정하는 과정만 추가될 뿐 같은 과정이다. 이때에도 가장 유의해야하는 점은 빈 “SynologyDrive” 폴더 만들기 체크박스를 반드시 해제하는 점이다. [+생성] 버튼을 눌러 설정해보자.

스크린샷 2025 01 17 153813

 

 




 

3. Synology Drive Client 설치 (MacOS)

macOS에 설치하는 방법은 Windows 와 대동소이 하나 결정적으로 폴더지정을 해주지 않아도 자동으로 경로가 설정된다. 폴더지정 이전까지는 Windows와 같으니 2번 항목을 참고하자. 그대로 진행하면 스크린샷 2025 01 15 20.12.18

보다시피 PC의 폴더는 자동으로 지정된다. 다만 아래의 요청 시 동기화를 활성화하여 컴퓨터의 디스크 공간 절약 항목을 반드시 체크 해주어야한다. 체크를 하지 않고 넘어가게 되면 NAS의 해당 폴더의 데이터를 모조리 PC로 다운받아서 mac의 디스크가 꽉 차버리는 일이 생기게 된다. 이 항목에 체크를 하면 파일을 클릭했을 때 그 파일만 불러오게 되므로 Windows 에서의 사용과 같은 환경이 된다.

Windows와 마찬가지로 작업표시줄(macOS는 상단 우측)에서 찾아볼 수 있다.

동기화에 이상이 생기면 작업표시줄의 아이콘에 빨간색으로 경고를 띄워주므로 모니터를 해주도록 하자. (Windows, macOS 공통)

 

4. 파일 상태 확인, 변경

PC에서 Synology Drive 폴더에 들어가면 파일명에 아이콘이 생성되어 있는데 이 의미는 다음과 같다.

스크린샷 2025 01 17 154734

위의 아이콘 대로 파일의 상태를 변경하려면 해당파일을 <우클릭 – 추가옵션표시> 혹은 <Shift + 우클릭> 하여 메뉴 중에서 상태를 선택한다.

스크린샷 2025 01 17 160854

<Windows>

스크린샷 2025 01 17 154803

위의 아이콘 대로 파일의 상태를 변경하려면 해당파일을 우클릭하여 메뉴 중에서 상태를 선택한다.

스크린샷 2025 01 15 20.14.15

<mac OS>

 

5. 모바일의 설치

모바일의 로그인과정 또한 2번의 항목에서 넣었던 것과 똑같이 넣으면 되며 다운로드 링크는 아래와 같다.

Drive QR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