엡손 라벨프린터 Epson OK1000P 유선, 무선연결 설치

Author name

2025년 03월 27일




 

출시된 라벨프린터의 종류가 예전에 비해 다양해졌다. 부담없이 접근할 수 있는 가격대의 제품들도 많고 님봇 같은 중국산도 가격에 비해 쓸만하다. 다만 좀 더 정교하고 내구성이 필요한 라벨은 투자를 해야하는데 그 절충선에 있는 것이 바로 엡손 라벨프린터 OK1000P 이다. 마음먹고 백만원을 넘어가는 전문 라벨출력기가 아니라면 다양한 라벨 출력이 가능하고 호환 테이프를 사용해도 출력 품질이 우수한 이 정도가 딱이다.

엡손 라벨프린터 OK1000P
엡손 라벨프린터 OK1000P

 

IMG 5906 scaled 1
테스트 용 12mm 라벨 테이프를 제공한다.

 

 

1. 엡손 라벨프린터 OK1000P의 연결 및 드라이버 설치

IMG 5904 scaled 1
무선 네트워크, USB, 유선 네트워크를 지원한다.

 

OK1000P의 후면에는 USB와 RJ45 이더넷 포트가 준비되어 있다. WPS는 공유기와 페어링을 할 때 쓴다. 곧 USB, 유선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한다는 말이다. 어떻게든 연결할 수 있다. 혼자 PC옆에 두고 쓴다면 USB도 충분하지만 사무실이나 여러 명이 모여있는 공간에서는 네트워크 프린터로 이용가능하다. 본품에는 전용 아답터와 USB 2.0 케이블이 포함되어 있다.

USB 연결법은 말할 것도 없이 꽂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유선, 무선 네트워크 연결방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공통으로 드라이버를 다운 받아야 하기 때문에 아래 링크를 클릭하여 다운로드 받도록 하자.

<Epson OK1000P 드라이버 다운로드>

 

1-1. 드라이버 설치

드라이버 설치 전에 기기를 먼저 연결하지 않고 설치 중간에 연결하고 전원을 넣는다.

스크린샷 2025 02 02 172518
앞서 다운받은 파일의 압축을 풀고 SetUp을 더블클릭하여 실행한다.

 

스크린샷 2025 02 02 172757
응용프로그램인 Label Editor를 반드시 설치해야하기 때문에 위를 선택한다. 아래의 옵션은 혹시 오류 등으로 드라이버를 삭제하고 재설치 할 때 선택한다.

 

스크린샷 2025 02 02 173040
동의, 다음, 확인 등을 눌러 진행하다가 이 화면이 나오면 Network Configuration Tool을 선택한다. 이것은 네트워크 설정에 필요하기 때문에 같이 설치해주어야 한다.

 

스크린샷 2025 02 02 173243
라벨 에디터의 설치가 끝나 완료를 누르면 드라이버를 설치한다. 첫 화면에서 드롭다운 메뉴 중 OK1000P를 선택하고 다음을 누른다.

 

스크린샷 2025 02 02 173402
네트워크로 연결할 것이므로 당연히 위의 항목에 체크

 

스크린샷 2025 02 02 173522

 

스크린샷 2025 02 02 173633
공유기의 DHCP를 이용할 것인지 아닌지를 선택하는 과정이다. 한번 설치하면 움직이지 않는 고정기기들은 고정 IP를 추천하는데 보다시피 현재 연결이 완료되지 않아서 USB케이블을 꽂아야 한다. 연결이 완료된 후에도 고정IP로 바꿀 수 있으니 자동으로 일단 연결한다.

 

스크린샷 2025 02 02 174017
랜선을 공유기에 꽂아 연결했으면 유선 LAN을 선택한다.

 

스크린샷 2025 02 02 174341
설명대로 랜 케이블을 연결하고 전원을 켠다.

 

유선 네트워크는 필자가 사용하고 있는 방법이다. NAS, 잉크젯 프린터, 스캐너 등이 공유기 근처에 자리하고 있어서 라벨프린터도 합류시켰다.

IMG 5917 scaled 1
본품에 랜선을 꽂는다. 어차피 대량의 데이터가 빠른시간에 오가는 기기가 아니므로 형식은 CAT5 이상이면 상관없다. 굴러다니는 랜선이 있다면 그걸 꽂도록 하자.

 

IMG 5919 scaled 1
공유기의 남는 LAN포트에 꽂는다.

 

 

스크린샷 2025 02 02 174549
방화벽에 등록을 하지 않으면 데이터 전송이 안될 수 있다.

 

스크린샷 2025 02 02 174658
목록에 뜬다는 것은 DHCP로 프린터에 IP를 배정했다는 말이다.

 

스크린샷 2025 02 02 174826
완료가 되었다. USB에 비해 네트워크 설정 과정을 거쳐야 하다보니 상대적으로 선택해야할 것도 많고 시간도 더 걸린다. 하지만 이렇게 한번만 해놓으면 더 이상 손을 댈일이 없으니 포트가 남으면 네트워크로 연결해보기 바란다.

 




1-2. 무선 네트워크

스크린샷 2025 02 02 174007
무선 LAN으로 연결하려면 여기서 무선 LAN을 선택한다.

 

스크린샷 2025 02 02 180948
인프라 모드란 공유기에 IP를 등록하여 사용하는 방식(엑세스 포인트란 공유기라고 보면 된다.)이고 단순 AP 모드는 개별 PC 1대와 프린터를 직접 연결하는 방식을 말한다.

 

IMG 5921 scaled 1
공유기의 LED가 깜빡일 때까지 WPS 버튼을 누르고 있는다.

 

WPS로 연결할 때에는 가능한 공유기 가까이 두도록 한다.

 

IMG 5922 scaled 1
공유기의 LED가 깜빡이고 있을 때 라벨프린터 뒷면의 WPS 버튼을 누른다.

 

 

전원 LED와 와이파이 표시 LED가 점멸한다. 연결 시도 중이라는 뜻이다. 만일 이 과정에서 잡히지 않으면 다시 공유기의 WPS 버튼을 눌러 점멸을 확인 후 라벨프린터의 WPS 버튼을 누른다. 환경에 따라 수차례 해야할 수도 있기에 끈기를 가지고 하자.

 

IMG 5923 scaled 1
연결이 완료되면 점멸하지 않고 LED가 계속 켜져있게 된다. 연결 완료라는 뜻이다.

 

이 과정 이후에 방화벽 등록화면이 나오는데 유선 설정의 과정과 동일하게 진행하면 된다.

공유기와 거리가 가깝다면 유선 방식을 추천한다. 켜는 동시에 사용이 가능하고 끊길 염려가 없다. 다만 위치를 잡기 애매하다면 무선도 괜찮다. 다만 켰을 때 와이파이 램프가 점멸하며 신호를 잡고 나서 사용이 가능하다. 무선신호의 품질에 따라 끊길 위험도 있지만 선에 구애받지 않는다는 것은 큰 장점이다. 게다가 프린터라는 것은 그저 보조장치이기 때문에 혹여 잠시 끊긴다고 해서 큰 문제가 될 것은 없다. 환경에 맞게 잘 선택하면 될 것이다.

결국 프린터도, 라벨 프린터도 출력물의 디자인을 어떻게 하느냐가 매우 중요한 문제인데 OK1000P를 100% 활용할 수 있는 라벨에디터에 대한 포스팅도 참조해서 좋은 결과물을 만들기 바란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