엡손 라벨에디터 (Label Editor) (feat.OK1000P) 2 – 폼입력, 엑셀, CSV 파일 불러오기

Author name

2025년 03월 27일




 

라벨에디터를 사용하면서 하나씩 하나씩 만들어서 출력하는 경우도 물론 많겠지만 컴퓨터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단순 작업반복을 지치지 않고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라벨에디터도 형식만 갖추어서 명령을 하면 출력을 해준다. 대표적으로 엑셀에 정리된 목록들을 하나 하나 라벨로 출력하는 작업이다. 물품 등의 보유목록을 라벨에디터로 불러와 하나씩 출력해서 관리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1. 라벨에디터의 테이블에 데이터 입력하여 출력하기

기존에 목록이 존재하지 않고 라벨에디터 자체에서 직접 목록을 입력하는 경우이다. 기존에 있는 폼으로 예를 들어본다.

라벨에디터
라벨에디터를 열고 ‘오피스 – 장비 관리’를 선택한다.

 

스크린샷 2025 02 08 183650
두 번째 템플릿을 불러온다.

 

스크린샷 2025 02 08 183701

이 화면에서 현재 선택되어 있는 데이터 입력에 내용을 넣어도 상관이 없으나 일단 열고 데이터 테이블에 써넣어도 되니 빈 채로 확인을 누른다.

 

스크린샷 2025 02 08 184148

아래에 데이터를 써넣을 수 있는 테이블이 생겼다.

 

스크린샷 2025 02 08 184403

항목을 채워가면 아래의 행은 자동으로 생성된다. 원하는 만큼 써넣을 수 있다.

 

스크린샷 2025 02 08 184644
텍스트 박스를 선택해 속성을 변경할 수 있다.

 

지난 포스팅에서도 언급했지만 라벨에디터를 사용하는 가장 큰 장점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바로 PC에 설치된 폰트를 마음껏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단순히 폰트 변경만으로도 라벨이 한층 수준 높아진다. 변경할 텍스트의 블록을 선택하면 그림과 같이 ‘폰트 스타일’ 이라는 속성 창이 뜨는데 여기에서 주어진 옵션들을 변경할 수 있다. 불러온 프리셋은 말그대로 틀이고 내용을 반복해서 채워넣는 것이기 때문에 이렇게 지정한 옵션은 전체에 적용된다.

 

스크린샷 2025 02 08 184930
몇 페이지 상관없이 텍스트 블록을 수정하면 다른 페이지의 속성도 똑같이 변경된다. 세 번째 책상에서 변경했지만 첫 번째 노트북 페이지까지 변경한 글꼴과 정렬상태가 적용된다.

 

 

2. 라벨에디터에 엑셀 파일을 불러와서 출력하기

위의 폼을 다시 불러와본다.

스크린샷 2025 02 08 185547

‘데이터 삽입하기(복수 라벨의 경우)’를 선택하고 우측의 탐색 버튼을 눌러 경로를 설정하고 엑셀파일을 불러온다. 다만 폼의 형태를 보면 3가지 속성이 있는데 이에 맞춰진 엑셀파일 이어야 한다. 맨 윗줄(첫 행)에 데이터의 속성을 써넣었다면 ‘첫 행을 열 머리글로 사용’에 체크하고 내용만 있으면 체크 해제하고 확인을 누른다.

 

스크린샷 2025 02 08 190206
폼의 속성 순서와 맞아야 한다.

 

자산이름, 관리번호, 구입일의 순서가 맞아야 한다.

스크린샷 2025 02 08 190353
다음 화면에서 데이터의 첫 번째 줄에 아무 것도 뜨지 않는 이유는 위의 엑셀파일을 보면 알겠지만 첫 행이 비어있기 때문이다. 확인을 누른다.

 

스크린샷 2025 02 08 190811
내용이 없는 행은 첫 번째 열을 선택하고 (행이 전부 선택되었다 – 회색) 우클릭하여 ‘행 삭제’로 삭제한다.

 

스크린샷 2025 02 08 191124
텍스트 상자를 선택해 마음에 드는 문자 속성을 변경한다.

 

엑셀에서는 / 로 표현되어 있던 연, 월, 일이 한글로 표시된 것은 엑셀에서 셀서식이 날짜로 되어있어서 그렇다. 아무 속성 없이 일반으로 두고 입력하면 보이는 그대로 불러온다.

대략 이런 식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그렇게 어렵지 않다.

 




3. 라벨에디터에 엑셀 파일 불러와 폼 만들기

2항에서는 원래 있던 폼에 데이터를 맞추어 넣어보았다. 당연히 주어진 폼으로 모든 상황에 대응할 수 없기 때문에 데이터에 기반하여 폼을 만들어서 사용해야 한다.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서류파일의 이름을 만드는 작업을 해보도록 하자.

 

스크린샷 2025 02 08 193849
이런 서류철을 만든다고 가정하자.

 

서류철에 붙일 라벨이 적다면 직접 해도 좋지만 서류가 많고 부서가 더 많아지면 감당하기 힘들 것이다.

스크린샷 2025 02 08 194154
삽입하기(세로쓰기)를 선택한다.

 

스크린샷 2025 02 08 194253
삽입 데이터 불러오기 선택

 

스크린샷 2025 02 08 194312
머리글은 작성하지 않았으므로 체크 해제 하고 현재의 데이터로 바꾸기를 누른다.

 

스크린샷 2025 02 08 194322
확인을 누른다. 보이는 첫 번째 줄의 내용은 전 항에서 ‘열 머리글로 사용’을 체크해제 했기 때문에 의미없다.

 

스크린샷 2025 02 08 194351

 

지난 포스팅에서 실습한대로 테두리 등의 도구를 이용해서 폼을 만든다.

스크린샷 2025 02 08 195144
표를 선택하고

 

스크린샷 2025 02 08 194959
행과 열의 수, 선의 굵기 등을 선택한다.

 

스크린샷 2025 02 08 195040
기본 틀이 만들어졌다.

 

틀이 만들어졌으므로 데이터 테이블에서 값을 넣어야할 부분을 지정하면 된다.

스크린샷 2025 02 08 195450
속성에 마우스 커서를 갖다대면 손 모양으로 바뀌며 클릭하면 열 전체 선택이 가능하다.

 

드래그 하여 적당한 위치에 드랍한다.

스크린샷 2025 02 08 200202
적당하게 편집을 하면 된다.

 

스크린샷 2025 02 08 200603
이런 식으로 하나만 편집하면 된다.

 

스크린샷 2025 02 08 200654
나머지도 스타일이 일괄적용 되었다.

 

폼을 만들기 시작하면 적용할 수 있는 곳은 무한대로 늘어난다. 서류철 뿐만 아니라 기념품을 나누어 주어야 한다면 엑셀에 정리된 참가자 명단을 불러와 폼에 하나씩 배치해 출력하고 기념품 박스에 붙이면 되는 것이다. 엑셀 파일 내용의 속성이 여러 개라도 불러와서 폼에 드래그만 안하면 되는 것이므로 필요한 속성만으로 폼을 만들 수 있다. 물품 관리, 참가자 명찰 등등 대량으로 출력해야 할 때 사용하면 좋을 것이다.

 

4. CSV 파일 제작, 불러오기

CSV가 생소한 사람도 있을텐데 그냥 아무 것도 아니다. 쉼표로 값을 분리한다는 내용으로 간단히 메모장으로도 만들 수 있다. 메모장을 열어보자.

스크린샷 2025 02 08 202657
값을 쉼표(열)와 엔터(행)으로 구분한다.

 

스크린샷 2025 02 08 202708
한글의 경우 UTF-8 인코딩 저장 시 라벨에디터에서 불러오면 깨질 수 있으니 ANSI로 변경하고 .txt 파일로 저장한다.

 

스크린샷 2025 02 08 203422
쉼표 별로 값이 구분되었고, 줄바꿈이 새로운 행으로 구분되었다.

 

PC에 엑셀이 없을 경우 메모장을 열어 간단히 값을 입력할 수 있다. 일일이 라벨에디터에서 입력하는 것보다 훨씬 더 일을 덜 수 있다.

다음 포스팅에 이어서 다른 기능들을 알아보도록 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