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놀로지 나스를 처음에 구입한 이유는 자료의 백업이었다. 하지만 사용하면 사용하면서 단지 백업물을 네트워크로 접근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 이 비싼 가격을 치루는 것이 아깝기 시작했다. 그래서 조금이라도 현명한 쇼핑이었음을 합리화 하기 위해 본래의 다른 기능들을 알아가기 시작했는데 그 중 가장 으뜸인 것은 공유 기능이다. NAS에 속한 계정은 물론이고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 링크를 제공함으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시놀로지 나스의 모든 공유방법을 나누고자 한다.
그동안 나스를 사용하면서 공유 기능을 유용하게 사용한 패키지는
- Synology Note Station
- Synology Photos
- Synology Drive
- File Station
이렇게 4가지 이다.
관련된 데스크탑 프로그램은 <<데스크탑 프로그램 다운로드>> 링크에서 설치하자.
1. Synology Note Station
노트 스테이션은 사용하기 시작하면 꽤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메모를 작성하는 방법이나 기능들은 Evernote 등의 노트 앱과 크게 다르지는 않은데 다만 UI, 즉 디자인에 너무 신경을 안 쓴 것 같아서 아픈 손가락 같은 앱이다. 시놀로지 앱들은 상호 간 유기적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데 글쎄 주위에 가끔 나스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그렇게 확장해서 까지는 사용을 하지 않는 것 같았다. 주로 백업하고 온라인으로 확인하는 정도? 그러니 거의 끝자락에 있는 Note Station 따위는 거의 거들떠 보지 않는 듯 하다. Note Station의 내용은 Note 앱의 알찬 활용법을 포스팅을 참고하자.
Note의 공유는 웹을 통해 DSM에 접속해서 Note Station을 실행 혹은 PC에 설치한 Note Station 앱, 스마트폰 이나 태블릿PC에 설치한 앱에서 모두 가능하다.
1-1. 시놀로지 나스의 계정이 있는 경우 (Synology Note 앱설치 필수)
메모 페이지 상단에서 공유버튼을 누르거나



나스에 가입되어 있는 계정(개인, 그룹)을 선택하고 읽기만 허용할 것인지 편집도 허용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추가, 확인을 누른다.

작성된 메모를 지정한 공유된 사람이 Synology Note Station을 통해 읽거나, 함께 수정하거나 할 수 있다.
1-2. 시놀로지 나스의 계정이 없는 경우 (Synology Note 앱이 없어도 됨)
위와 공유버튼을 누르는 과정은 같다. 그 이후 나타나는 창에서

공용 공유 활성화에 체크하고 생성되는 링크를 클립보드에 복사하여 상대에게 전달한다. 공용 공유는 ‘읽기’만 가능하고 편집은 불가능 하다.

2. Synology Photos
어찌보면 나스를 사용하는 가장 큰 목적이 될 것으로 생각되는 Synology Photo다. 이것 또한 계정이 있고 없고로 나누어 보자.
2-1. 시놀로지 나스의 계정이 있는 경우 (Synology Photos 앱설치 필수)
공유를 원하는 사진을 마우스 우클릭 하여 공유를 클릭한다.
계정이 있는 사용자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비공개 – 초대 대상자만 액세스 가능’을 누르고 ‘초대 대상자 목록’에서 사용자나 그룹을 선택하면 우측 권한에
- 뷰어 : 파일 보기만 가능
- 다운로더 : 파일 보기와 다운로드 가능
- 공자 : 파일 보기, 다운로드, 추가, 삭제 가능
중 원하는 것을 선택하고 저장을 누른다.

좌측 메뉴 중 가장 아래에 있는 공유탭을 클릭하면 내역을 볼 수 있다.
- 다른 사람과 공유됨 : 내가 가진 사진을 다른 사람에게 공유한 내역
- 나와 공유됨 : 다른 사람이 가진 사진을 나에게 공유한 내역
2-2. 시놀로지 나스의 계정이 없는 경우 (Synology Photos 앱이 없어도 됨)

‘공개’와 보기만 가능할지 다운로드도 가능할지 두 옵션 중에 원하는 것을 선택한다. 그리고 상단의 링크 공유를 옆의 클립보드에 복사 아이콘을 눌러 복사한 후 저장을 누른다. 이 링크를 메신저 혹은 이메일 등으로 공유한다.

다만 사진을 공유할 때에는 단지 1장만을 공유하지 않을 것이다. 이럴 때는 앨범을 만들어 그 안에 공유할 사진을 지정하고 앨범을 공유한다.





공유를 중지하려면 공유 – 다른 사람과 공유됨 에서 중지하려는 사진을 우클릭하면 공유 중지를 선택할 수 있다.
2-3. 업로드 요청
위에서 앨범을 생성했는데 이렇게 생성한 앨범은 공유한 상대(비공개, 공개에 따라 달라짐)가 사진을 업로드 할 수 있는 업로드 링크를 제공한다.

상대방이 계정이 있건 없건 간에 업로드를 할 수 있는 링크를 제공한다. 이에 관련된 포스팅이 있으니 참조하자.
3. Synology Drive
시놀로지 드라이브 또한 계정이 있는 사람들과의 공유와 계정이 없는 사람들에게도 공유할 수 있는 옵션이 있다. DSM에서 Synology Drive를 실행하고 공유할 파일을 우클릭한다.

이것은 PC에 설치한 Synology Drive Client 에서도 가능하다.


공유 설정 방법은 위에서 알아본 과정과 똑같다. 공개, 비공개, 권한 설정을 해주고 저장을 누르면 된다.
4. File Station
대략 이쯤 살펴보면 공유는 어떻게 하는 것인지 감이 올 것이다. File Station 또한 공유 방법은 같다. 공유할 대상(파일 혹은 폴더)을 우클릭해서 공유설정을 하는 일련의 과정의 반복이다. 다만 Synology Drive와 약간 다른 부분이 있는데 파일을 업로드 받을 수 있는 링크를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마치 Synology Photos 와 같이 파일을 업로드 받을 수 있다는 점이다.

DSM에서 파일스테이션을 실행하고 공유폴더 내에 업로드 받을 임의의 폴더를 생성한다. 보기에는 250217_Upload라는 폴더를 생성하였다. 생성한 폴더를 우클릭하여 ‘파일 요청 생성’을 클릭한다.



이정도의 공유 방법을 알고 있으면 Synology NAS를 좀 더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한 방법은 모바일 앱에서도 가능하니 실습해보기 바란다.